인간의 건강의 척도는 무엇일까?
아마 신체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며 얼마나 활발하게 움직일 수 있는가라는
물음에 대한 답변이 바로 자신의 건강 척도가 아닐까 싶다.
자신의 신체조건을 젊은이들처럼 최상의 상태로 유지하는 기술이 바로 건강의
시작일 것이다.
내가 사는 아파트에는 80세가 넘으신 어르신이 한분 계신다.
왕년에 학교 교사를 하셨다는데, 물론 지금은 퇴임후 인생의 여유를 즐기면서
행복하게 사시는 분이다.
피트니스클럽 골프연습장에서 아직도 항상 파워있는 스윙을 구사하시고
만나면 반갑게 인사도 건내고, 함께 운동하는 이웃들에게 자판기 음료수도
사서 대접을 하시곤 하신다.
이 분께서 얼마전에 내게 함께 라운딩할 수 있겠나고 물어 오셨다.
친구들과 라운딩을 하기로 했는데 한 분이 불참하게 돼서 나에게 함께 운동할 수
있는지를 타진해 오신 것이다. 나는 일정을 조정하기로 했다.
그리고 나는 오늘 84세의 노신사와 함께 라운딩을 하게 된 것이다.
친구 사이라는 다른 두 분과 함께 라운딩을 시작했다.
80세가 넘으신 분들이 힘들이지 않는 편안한 스윙으로 샷을 하면 방향성이
여간 좋은 것이 아니였다. 물론 거리는 좀 떨어지지만, 우드나 이이언을
상황에 따라서 잘 구사하면서 그린 근처까지 접근해서 어프로치를 이용
깃대에 공을 붙이려고 애쓰시는 모습을 보았다.
퍼팅도 편하게 바향성만 고려하고 2~3 퍼트를 해서 넉넉한 거리라도
기브를 주면서 편안하게 운동을 즐기는 것이였다.
80대에도 여유를 느끼면서 골프를 칠 수 있다는 사실이 무척 부러웠다.
나는 화이트 티 박스에서, 세 분은 골드 티 박스에서 티업을 하면서 즐겁게
이야기를 하며 운동을 했다.
나이가 들어서도 골프를 즐길 수 있기 위해선 몇가지 어려운 문제들이
있다는 말씀이 가슴에 와 닿았다.
우선 골프를 계속 칠 수 있도록 건강해야 하고, 차가 있어야 되고,
함께 운동할 친구가 있어야 하고 돈이 있어야 한다고....
운동 끝나고 클럽하우스에서 함께 점심을 먹었다.
그 분들은 보드카를 칵테일로 만들어서 딱 한잔씩 나누어 들고, 간단한
식사로 운동을 마무리하였다.
나도 그분들처럼 그렇게 나이가 들어도, 여유롭게 골프를 즐길 수 있는
삶이 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바램을 해 보았다.
아무리 성공하고. 금전적 여유를 갖고 있어도 함께 운동할 수 있는 친구가
있어야 겠고.
그리고 가능하면 나도 80대 나이가 돼서 에이지 슈터가 될 수 있도록
체력관리를 잘 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골프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골프는 에러를 줄이는 운동 (0) | 2012.06.30 |
|---|---|
| 집중력과 평상심 (0) | 2012.06.10 |
| 골프女帝가 되고 싶은 高爾夫天后 (0) | 2011.06.28 |
| 그대 이름은 캐디 (0) | 2011.01.30 |
| 난 골프가 좋다. (0) | 2011.01.30 |